1. 프랑스혁명과 좌우파의 기원
"좌파"와 "우파"라는 용어는 프랑스혁명(1789년) 당시 프랑스 국회의 좌석 배치에서 유래했습니다.
국왕과 왕권 지지자들은 **의장석 기준 오른쪽(우측)**에 앉았고, 급진적인 혁명 세력, 평등주의자들은 **왼쪽(좌측)**에 앉았습니다.
이때부터 **우파(Right-wing)**는 전통, 질서, 권위, 계층 유지 등을 중시하는 입장으로 자리 잡기 시작했습니다.
2. 보수주의의 형성
대표적 우파 이념 중 하나인 **보수주의(Conservatism)**는 에드먼드 버크(Edmund Burke) 같은 사상가들에 의해 체계화됐습니다.
그는 급진적 변화보다 점진적 개혁, 전통과 제도 유지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3. 19세기~20세기: 다양화된 우파
자본주의 발전과 함께 자유시장경제, 개인의 자유와 책임을 강조하는 자유주의적 우파가 등장했습니다.
반면, 일부 우파는 국가주의적, 민족주의적 성향을 띠며 권위주의적 우파 또는 극우파로 발전하기도 했습니다.
예: 파시즘, 나치즘 등
🧠 우파의 주요 가치
전통의 유지: 가족, 종교, 민족문화 등
자유시장경제: 정부 개입 최소화, 기업 자유 강조
법과 질서: 치안, 군사력, 안보 중시
개인의 책임: 복지보다 자립 강조
그럼 대한민국 우파는 어떻게 발생하고 발전해 왔을까?
대한민국의 우파는 반공(反共),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전통적 가족·사회 질서 유지를 중심 가치로 삼으며 발전해 왔습니다. 다음은 그 발생과정을 단계별로 살펴본 것입니다:
1945년 광복 이후: 이념 분화의 시작
일제강점기 해방 이후, 조선은 미국과 소련에 의해 분할 점령.
좌익 세력은 사회주의, 공산주의, 친소노선을 따랐고,
우익 세력은 자유민주주의, 자본주의, 친미노선을 따랐습니다.
대표적인 초기 우파 인물: 이승만
미국 유학, 반공 성향, 자본주의 지지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초대 대통령
6·25 전쟁과 반공 우파의 강화 (1950~60년대)
**6·25 전쟁(1950~1953)**으로 인해 반공 이데올로기가 국가 정체성 수준으로 강화됨.
이 시기 대한민국 우파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님:
강한 반공주의
친미, 친서방 노선
국가 주도의 경제개발 초기 전략
박정희 시대: 개발독재적 우파 (1960~70년대)
1961년 5·16 군사정변으로 집권한 박정희는 우파 정권의 상징적 인물.
그의 정부는:
반공을 국시로 내세움
고도경제성장 (한강의 기적) 주도
하지만 정치적 권위주의, 언론 통제, 유신 독재 등의 문제도 존재
➡️ 이때부터 한국 우파는 "경제 발전 + 안보 강화"라는 정당성을 기반으로 성장
1980년대~90년대: 민주화 이후 보수 우파의 전환
1987년 6월 민주항쟁 이후 직선제가 도입되며,
군사독재식 우파 → 민주적 절차를 수용한 보수 우파로 변화
대표 정당: 민자당 → 한나라당 → 새누리당 → 국민의힘(현)
2000년대 이후: 가치 보수 vs 경제 보수의 분화
대한민국 우파는 점점 내부적으로도 다양해졌습니다:
전통가치 보수: 안보, 반공, 가족주의, 종교 중심 (예: 일부 기독교 기반 세력)
경제적 보수: 작은 정부, 자유시장 강조, 규제 완화
극우 성향: 탈북자, 태극기 집회, 강경 반북·반중 정서
우파의 발생은 기존의 기득권층이 본인들의 기득권을 위하여 왕권을 중심으로 이익집단의 움직임을 보였다.
하지만 왕권이 몰락하고(시민혁명) 이후에 급진적 개혁 보다는 점진적 개혁과 전통을 중시하는 의미의 우파의 움직임이 있었고 그 외 파시즘이라는 말도 안 되는 극우의 형태로 나타났다.
대한민국의 우파.... 그들도 여타 다르지 않았다. 하지만 지금은 걱정이 되는 부분이 있다.
점점 우경화(극우화) 되는 부분이 보인다. 극우, 극우의 끝은 지난 세계의 역사에 잘 나타나 있고 그 끔찍한 실상은 상상하고 싶지 않다.
대한민국 그 수만은 혁명, 시민운동(최근의 응원봉까지)을 격고 지금까지 민주주의를 잘 이끌어왔고 잘 지키고 있다.
콘텐츠가 힘이 되는 세상에 살며 우리의 다음 행보는 무엇일까?
카테고리 없음
🏛 우파의 발생과 발전 그리고 역사적 배경
반응형
반응형